2025년 1월부터 4월 19일까지의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데이터를 기준으로 전국 주요 도시의 고가 아파트 순위가 새롭게 정리되었습니다. 이번 자료는 단순한 단가 순위가 아니라 실제 계약이 성사된 실거래 기준이기 때문에, 현재 시장의 분위기와 고급 주거 수요의 방향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의미한 자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강남 포함 및 제외), 경기·인천, 부산까지 4개 구역으로 나누어 실거래 기준 고가 아파트 TOP 10을 정리하고, 특징 및 변화 흐름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서울 TOP 10 – 한남 더힐, 나인원 한남 여전히 압도적
순위 | 아파트명 | 평형 | 실거래가 |
---|---|---|---|
1 | 한남더힐 | 100평 | 175억 |
2 | 나인원한남 | 88평 | 158억 |
3 | 아크로서울포레스트 | 60평 | 135억 |
4 | 아크로리버파크 | 62평 | 100억 |
5 | 압구정 신현대 | 59평 | 96억 |
6 | 압구정 현대4·2차 | 63평 | 95억 |
7 | 래미안 원베일리 | 53평 | 95억 |
8 | 래미안 퍼스티지 | 81평 | 90억 |
9 | 압구정 한양4차 | 68평 | 85억 |
10 | 아이파크 삼성 | 73평 | 81억 |
서울의 고급 아파트 시장은 여전히 용산구 중심으로 고착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한남더힐은 100평 기준으로 175억 원에 거래되며, 여전히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고, 나인원한남(88평, 158억), 아크로서울포레스트(60평, 135억)도 뒤를 잇고 있습니다.
TOP 10 내 대부분이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또는 용산구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며, 그 외에도 압구정 현대 아파트 단지들의 거래가 90억대 이상을 유지하며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2. 서울 TOP 10 (강남 3구 제외) – 여의도·마포, 상승세 주목
순위 | 아파트명 | 평형 | 실거래가 |
---|---|---|---|
1 | 한남더힐 | 100평 | 175억 |
2 | 나인원한남 | 88평 | 158억 |
3 | 아크로서울포레스트 | 60평 | 135억 |
4 | 브라이튼 여의도 | 54평 | 67.2억 |
5 | 트리마제 | 56평 | 65.9억 |
6 | 르가든 더 메인한남 | 129평 | 63억 |
7 | LG한강자이 | 76평 | 55억 |
8 | 여의도서울 | 48평 | 53억 |
9 | 아스테리움 용산 | 65평 | 53억 |
10 |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 62평 | 50억 |
강남 3구를 제외한 서울권 고가 아파트 거래 순위에서도 한남 더힐, 나인원한남, 아크로서울포레스트가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브라이튼 여의도, 트리마제 등도 주목할 만한 거래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여의도서울, 아스테리움 용산,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등은 입지뿐 아니라 브랜드 프리미엄으로 꾸준한 수요를 증명하고 있으며, 강남 외 지역에서도 ‘초고가 실거주 수요’가 확산되는 흐름이 확인됩니다.
3. 경기·인천 TOP 10 – 판교·과천·분당의 강세 지속
순위 | 아파트명 | 평형 | 실거래가 |
---|---|---|---|
1 | 판교 푸르지오 그랑블 | 51평 | 42억 |
2 |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 102평 | 35억 |
3 | 판교 알파리움1단지 | 54평 | 34억 |
4 | 분당 파크뷰 | 70평 | 31억 |
5 | 과천 주공10단지 | 40평 | 31억 |
6 | 광교 중흥S클래스 | 52평 | 28.9억 |
7 | 과천 푸르지오 써밋 | 48평 | 28.5억 |
8 | 분당 알펜시티 | 88평 | 27.7억 |
9 | 래미안 이스트팰리스1 | 100평 | 27억 |
10 | 과천 주공5단지 | 45평 | 27억 |
경기·인천권에서는 판교 푸르지오 그랑블(51평, 42억)이 1위를 차지하며 여전히 판교권 초고가 아파트의 위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알파리움 1단지, 분당 파크뷰 등도 30억~40억 원대의 안정적인 고가 실거래를 유지하고 있으며, 과천중앙·광교중흥S클래스 등 행정타운 주변 주요 입지의 고급 아파트들도 상위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과거보다 평형 대비 실거래가가 올라간 것으로 분석되며, 일부 단지에서는 전고점 대비 거래 회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4. 부산 TOP 10 – 해운대가 여전히 독주
순위 | 아파트명 | 평형 | 실거래가 |
---|---|---|---|
1 | 해운대 엘시티 더샵 | 75평 | 49.8억 |
2 | 해운대 경동제이드 | 86평 | 48억 |
3 | 더블유 | 72평 | 33.6억 |
4 |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 | 69평 | 29억 |
5 | 현대 베네시티 | 70평 | 26.7억 |
6 | 삼익 비치타운 | 52평 | 23억 |
7 | 더샵 센텀파크1차 | 69평 | 22.8억 |
8 | 해운대 아이파크 | 73평 | 22억 |
9 | 블랑써밋74 | 55평 | 19.6억 |
10 | 현대 하이페리온 | 76평 | 19억 |
부산에서는 해운대 엘시티 더샵(75평, 49.8억)이 1위에 올랐으며, 엘시티, 경동제이드, 더블유 등 해운대권 초고층 브랜드 아파트가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센텀파크1·2차, 아이파크, 블랑써밋74 등도 20억~30억 원대의 실거래가를 기록하고 있으며, 해운대 기반의 부촌 프리미엄이 여전히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5. 정리 및 시사점 – 고가 아파트, 여전히 수요는 살아있다
2025년 상반기 실거래가 데이터를 보면, 금리 인상기와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고가 주택 시장은 여전히 살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울: 한남동·압구정·성수동 고급화 지속
- 경기: 판교·과천 중심의 IT·행정타운 수요 고정
- 부산: 해운대권 해양·뷰 프리미엄 변함없음
특히 100억 원 이상 초고가 거래가 빈번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부동산 양극화는 더욱 뚜렷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거래가 기준 고가 아파트의 흐름은 단순한 가격이 아닌, 입지·브랜드·희소성의 총합이라는 점에서 앞으로의 투자 및 실거주 전략 설정 시 반드시 참고해야 할 지표입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세 전세 반전세 차이와 선택 전략 –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를 위한 2025년 기준 완벽 가이드 (0) | 2025.05.02 |
---|---|
2025년 공시지가 및 보유세 변화, 종부세 절세 전략 총정리 (0) | 2025.04.23 |
부동산 법인 설립과 절세 전략 – 개인 vs 법인, 언제 법인이 유리할까? (0) | 2025.04.21 |
상속 부동산 절세 전략 – 증여 vs 상속, 세금 줄이는 법 총정리 (0) | 2025.04.16 |
청약 전략 – 신혼부부와 무주택자를 위한 2025 특별공급 가이드 (0) | 2025.04.15 |